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 : 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

by 허니GO 2022. 8. 15.

 

1. 부동산 투자 책 리뷰 : 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

 

 

 

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오늘 읽은 책  "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 은 의사, 한의사 부부의 실제 느낀 점을 토대로 부동산 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있는 책입니다.

 

글쓴이는 근로소득에만 집중하고 자산에 대한 관리에 관심이 없었던 40세에 순자산이 0원인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부동산 투자에 필요성을 느끼고 부동산에 투자를 하고 부를 축적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책을 통해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에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지만 막연하게만 생각하고 있었던 터라 부동산 투자에 대해 한걸음 가까이 다가설 수 있게 해 준 책입니다.

 

 

책표지-나는-학벌보다-돈이-좋습니다만
나는-학벌보다-돈이-좋습니다만-책표지

 

 

 

 

2.  책 소개

책은 저자 부부의 실제 투자를 통해 얻은 경험과 노하우, 정보들을 투자 마인트 세팅부터 투자전략 소개까지 부동산 투자의 처음과 끝을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나는-학벌보다-돈이-좋습니다만-차례2나는-학벌보다-돈이-좋습니다만-차례2
나는-학벌보다-돈이-좋습니다만-차례

 

(1) 투자마인드 세팅하기.

자본소득에 대한 필요성을 알아야 한다고 합니다. 책을 읽어 나가면서 나는 어느 정도나 부동산을 투자할 마인드가 있는지 생각해보았습니다. 부동산 투자, 주식투자 등 자본소득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에 대한 중요성은 공감하고 있습니다. 

 

 

(2) 투자장벽 허물기

돈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공부가 되어 있는지, 배우자와 투자 마인드가 일치하는지, 부동산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공인중개사와의 만남을 거리끼는 건 아닌지,  전반적인 부동산에 대한 교통정리는 되고 있는지 등을 설명해주며 부동산 투자 준비 단계에 대한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3) 투자처를 찾는 전략

투자처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매매거래지수, 미분양지수, 전세가 등을 통해서 우상향 하는 아파트에 대한 투자처를 찾는 분석과 지역 내에서는 평단가 순 아파트 정리, 교통, 학군 등 입지분석 그리고 지역 간 상대평가로 저평가 지역 확인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투자처를 찾아내는 전략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분석이 끝나면 똘똘한 한 채 , 소도시 투자 등 성향에 맞는 투자에 대한 소개도 해주고 있습니다.

 

 

(4) 다양한 정보 제공

책 중간중간에 부동산 정보를 찾기 위한 사이트 소개와 블로그 소개,  온라인 정보 활용 그리고 부동산 투자에 대한 팁을 알려주고 있고 부동산 투자를 위해 세법, 법인 활용 등 다양한 시각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도 얘기하고 있습니다.  

 

 

 

 

 

 

 

3. 책을 읽고 나서 

 책을 읽기 전에는 부동산 투자는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거나, 소액으로 투자 하기가 부담스럽고, 각종 세금이나 관리 또한 만만치 않을 것 같다는 생각에 공부를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소액으로도 얼마든지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당장은 투자가 힘들겠지만 지금부터라도 책에서 언급한 부동산 교통정리부터 시작해서 부동산에 대한 현황부터 파악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 또한 책의 저자처럼 본인 스스로 납득이 되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 성격이기 때문에 부동산을 이론적으로 분석해서 투자가 가능하다는 저자의 말을 믿고 스스로가 납득이 되도록 공부를 통한 부동산 투자가 되도록 노력해봐야겠습니다.

 

"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이라는 책은 부린 이인 제 입장에서는 부동산 투자에 대한 막연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고,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부동산 관련 책인 "나는 학벌보다 돈이 좋습니다만"이라는 책을 읽고 얘기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