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법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납부 안내

by 허니GO 2023. 8. 11.

8월은 12월말 결산법인의 중간예납 신고납부가 있는 달입니다. 오늘은 중간예납 신고대상, 신고방법, 중간예납 개정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대상

법인세-중간예납-신고대상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 대상 출처 : 국세청

각 사업연도 기간이 6개월을 초과하는 법인은 중간예납을 신고 납부하여야 합니다.

 

중간예납의무가 없는 주요 사유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설법인

-중간예납 기간에 휴업 등의 사유로 사업수입금액이 없는 법인

-이자소득만 있는 비영리법인

-직전 사업연도 중소기업으로서 직전 사업연도 산출세액 기준으로 계산한 중간예납 세액이 50만 원 미만인 내국 법인

 

※ 직전 사업연도 결손법인은 중간예납 의무가 있을까요?

A) 직전 사업연도 결손인 법인은 중간예납세액이 50만 원 미만인 경우에 해당되기 때문에 법인세 중간예납 의무가 없습니다.

 

 

 

 

2.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 납부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납부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납부 방법 출처 : 국세청

법인세 중간예납 신고 방법은 직전연도 산출세액을 기준으로 납부하는 방식과 상반기 실적을 중간결산을 하는 방식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직전 사업연도 산출세액 기준으로 신고하는 방법

직전 사업연도 산출세액 기준으로 신고하는 방법은 직전 사업연도에 계산된 산출세액에서 공제, 감면세액 등을 차감한 납부세액의  50%를 신고납부하는 방식입니다.

 

직전 사업연도에 대한 법인세 신고 자료가 이미 홈택스에 있기 때문에 직전 사업연도 산출세액 기준으로 중간예납을 납부하는 법인은 미리채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택스나 손택스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2) 중간결산하여 신고하는 방법

중간 결산을 하여 신고하는 법인은 상반기 까지의 법인결산 및 법인 세무조정을 진행해야합니다.

 

상반기 까지 결산 및 세무조정을 끝낸 뒤 과세표준(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 - 이월결손금 - 비과세소득 - 소득공제)을 계산하여 X 2 를 하여 연환산한 뒤 세율을 곱합니다.

※ 법인세는 초과누진세 (과세표준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증가함) 이기 때문에 6개월 단위의 과세표준을 1년 단위의 과세표준으로 환산해야 합니다.

 

연환산한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된 세액을 다시 상반기 분( 6개월) 세액으로 계산하기 위해 X  6 / 12를 해줍니다.

 

계산된 상반기 세액에서 공제, 감면세액 및 원천징수세액을 차감하여 최종 납부할 세액을 계산합니다. 

 

중간결산으로 신고하는 경우 전자신고 프로그램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세무대리인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올해 사업실적이 부진하여 중간예납 납부가 부담되는 경우 상반기 실적 기준으로 결산하여 신고하면 중간예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납부

납부세액이 1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납부세액의 일부 분납이 가능합니다.

 

-납부할 세액이 1천만 원 초과 2천만원 이하 : 1천만원 초과분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초과 : 납부할 세액의 50% 이하 

 

일반 기업의 경우 납부기한 (8월 말) 다음날 부터 1개월 (9월 말), 중소기업은 2개월(10월 말)까지 분납할 수가 있습니다.

 

 

 

 

 

 

3. 중간예납 시 주요 세법개정 내용

중간예납-세법개정-내용
법인세 중간예납 세법개정 내용 출처 : 국세청

 

-이번 법인세 중간예납부터 법인세 과세표준이 구간별로 1%P씩 인하되었습니다.

 

-또한 법인세 중간예납의무 면제대상에 직전 사업연도 중소기업 중간예납세액 30만 원 미만에서 50만 원 미만으로 상향조정되었습니다.

 

 

이상으로 법인세 중간예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